Object of perception 'I': a Synesthete
I have recently come to a profound realization: I am a synesthete. It is an intrinsic truth that when the subject of perception shifts, the manner in which experiences are encoded and impressed upon the brain alters accordingly. Yet, there was a critical juncture in which I fully grasped that my understanding of the world had always been filtered through an idiosyncratic sensory lens. In recent months, I have immersed myself in rigorous academic inquiry and the meticulous analysis of visual art. Delving into approximately 2,000 pages of scholarly literature and deconstructing over 10,000 pieces of artwork, I sought to excavate the intricate nuances and latent essences embedded within the materials and motifs of each epoch. My focus became so singular that I overlooked even my basic physical needs, leading to discernible physiological transformations, as my synesthetic experiences intensified through the lens of hyperesthesia, rendering them ever more palpable.
When subjected to heightened sensory stimuli, my senses ignite in a cascading, multisensory symphony. This phenomenon has become increasingly lucid through my recent engagements with cross-modal perception, where the interplay between heightened sensations and cognitive processing has laid bare the intricacies of my perceptual mechanisms. My brain, in its distinctive mode of function, amalgamates various sensory inputs, synthesizing them into a singular, yet multifaceted experience. The blue sky—perceived by others as a simple visual occurrence mediated by sight, smell, and touch—reveals itself to me as an entirely distinct experience, one shaped by my unique neural architecture. My neural circuits transmute simple sensory stimuli into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where a solitary input metamorphoses into a multisensory phenomenon, intertwining the five senses, pain, and emotion to compose a rarefied symphony of perception within my mind. This convergence has prompted deep reflections on the porous yet tangible boundaries between self and other, being and non-being, material and immaterial realms.
Throughout this journey of intellectual pursuit and creative analysis, I have encountered an incontrovertible truth. I have come to recognize an insatiable yearning for knowledge, an unquenchable drive for learning, and a fervent need to harness every cognitive faculty at my disposal. Learning and creation, I realized, are as essential to my being as oxygen—fundamental, irreplaceable. The act of interpreting and creating art—immersing myself in texture, hue, and the layers of meaning that reside beneath—is an experience that transcends all others. At the intersection of intellectual rigor and creative expression, I find myself drawn to share the rich, multidimensional experiences that have shaped my existence. My aim is to translate the intricate complexity of my inner self into a visual language, forging moments of resonance that reverberate deeply with others.
‘나’ 라는 인식의 객체: 공감각자
나는 최근에 내가 공감각자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인식의 객체(주체)가 달라지면 경험이 다르게 채색되고 뇌에 각인된다는 것은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내가 세상을 나만의 독특한 감각적 인식을 통해 이해해왔다는 것을 알게 된 계기가 있었다. 지난 몇 달 동안 나는 학문적 연구와 시각 예술 분석에 몰두했다. 나는 약 2,000페이지에 달하는 문헌을 탐독하고, 10,000점이 넘는 예술 작품을 해체하며 그 미묘함을 분석하고, 각 시대별 소재와 주제 의식 속에 숨겨진 본질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이 과정에서 너무 몰입한 나머지, 기본적인 필요조차 간과했고, 그 결과 신체적(생리적) 변화가 두드러지면서 공감각적 경험이 과감각증(hyperesthesia)을 통해 명확하게 느껴졌다.
나는 강렬한 감각 자극에 노출될 때 연쇄적으로 다중 감각이 자극된다. 이는 최근의 고조된 감각 경험(cross-modal perception)을 통해 더욱 명확히 드러났다. 나의 예민하고 독특한 감각 처리(neural processes) 과정과 지각(perception)의 복잡하고 미묘한 상호작용을 체득하게 된 것이다. 내 두뇌는 다양한 감각 정보를 통합하여 이를 특이한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었다. 내가 바라보는 푸른 하늘은 누구나 시각, 후각, 촉각을 통해 인식하는 일상적 경험이지만, 이러한 평범한 감각적 자극이 불러오는 경험이 타인의 경험과는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깨달았다. 나의 신경 회로는 감각 자극을 다차원적인 경험으로 수렴시킨다. 하나의 감각 경험이 다중 감각적 경험으로 변환되며, 오감과 통각, 감정이 얽혀 나의 두뇌에서 독특한 감각의 교향곡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이는 타인과 나, 존재와 비존재, 물질과 비물질 사이의 모호하지만 명확한 경계에 대해 사유하게 했다.
이 학습과 창의적 분석의 시간을 통해 나는 부정할 수 없는 진실과 마주했다. 나는 지식에 대한 갈증, 학습에 대한 갈망, 그리고 내 두뇌의 모든 인지적 능력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학습과 창작은 나에게 공기처럼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는 사실을 다시금 자각했다. 나에게 예술을 해석하고 창조하는 행위—질감, 색감, 그리고 더 깊은 의미 속으로 몰입하는 경험—는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초월적 체험이다. 이 지적 탐구와 창조성의 교차점에서 나는 나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다차원적 경험들을 세상에 전하고자 한다. 나라는 개인의 내면 복잡성을 시각적 언어로 변형하고, 이를 통해 다른 이들과 공명할 수 있는 순간을 창조하고 싶다.
The Unit of ‘I’
The concept of the self as a distinct unit permeates my reflections on art, identity, and perception. I recall painting the collapse of the Seongsu Bridge—a catastrophic event that jarred my expectations, revealing the rift between theoretical knowledge and lived experience. A bridge, by definition, is an architectural structure designed to bear loads and facilitate passage across divided spaces. However, this disaster shattered the idealized stability encoded in my understanding, leaving me to confront the unsettling inconsistency between abstract concepts and reality. What gives rise to this schism between recorded knowledge and lived experience?
Language, as an evolving convention, functions as a dynamic system of codified meanings. New words emerge to articulate novel ideas, while archaic terms dissolve, leaving behind the linguistic artifacts of their time. Language, although a powerful tool, remains insufficient for capturing the full dimensionality of objects and experiences. Consider the concept of “home”—despite existing in myriad linguistic forms, each individual’s memory of home defies finite representation. Through media and cultural exchange, billions of subjective realities are mediated by shared language, though these conventions continue to shift under the influence of geography, economics, and history. Throughout human evolution, our shifting value systems—marked by conflict and reconciliation—have catalyzed social maturation. I find the fluidity inherent in these processes compelling; rather than clinging to rigid values, I am drawn to the boundless possibilities that emerge from their dissolution.
From a cosmic vantage point, the individual might seem inconsequential, yet without the subjective presence of the “I,” the world itself would be devoid of meaning. Each person accrues memories and emotions, assembling an inner self through the dialectic of experience and reflection. This evolving framework not only shapes individual identity but also informs collective societal values, which, in turn, define the ethos of an era. As humanity progresses from the agricultural to the digital age—and now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the physical constraints on individual time and space have diminished, while potentiality has expanded exponentially.
Within the virtual landscapes we now inhabit, the influence of the self on others is immeasurable. I express this limitless potential by appropriating the canvas as a metaphorical object. In contemporary painting, the canvas serves as both a literal and conceptual boundary—a space for narrative exploration, yet also a limiting frame for perception. My work draws on the tension between these dual functions, using the canvas to evoke the individual as the smallest yet most profound unit within society.
Just as sensory stimuli are processed and woven into memory, the creation of a painting reflects an analogous interplay. Paint, before it dries, flows unpredictably, merging, scattering, or layering according to environmental variables. The paint’s journey—cracking under varying humidity or cascading downward due to gravity—mirrors the complex, uncontrollable aspects of human cognition. These physical contingencies echo the unpredictability of subjective experience, where memory and perception are continuously edited, distorted, and reassembled.
The emergence of personal identity, too, is subject to the same organic variability. Our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shape sensory input, which is further transformed by subjective interpretation, generating a wholly unique inner landscape. In this process, fragments of memory and emotion are highlighted, omitted, or distorted, producing an individual self that is both idiosyncratic and inimitable. Humanity, in all its complexity, becomes a fluid, ever-evolving phenomenon—an ongoing work in progress, shaped by the interplay between control and chance. Through this series of paintings, I seek to capture the nuanced individuality of contemporary society—the smallest units of our time. To those who continually redefine themselves, engaging in the art of life with unbounded potential, I offer a tribute through my work.
‘나’라는 단위(unit)
성수대교 붕괴를 그림으로 그렸던 기억이 있다. 이때의 경험한 정보와 현실의 괴리는 잊혀지지 않는 충격이었다. 다리의 사전적 정의는 물을 건너거나 또는 한편의 높은 곳에서 다른 편으로 건너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시설물이다. 오고 가는 이동수단의 하중을 버틸 수 있게 만들어진 구조체인 것이다. 그러나 내가 이해한 정보와 경험에 불일치가 발생했다. 혹자는 ‘이상적’ 이라고 말하는 문자로서 기록된 개념적 정의의 세상 속에는 부조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가 학습한 기록과 현실의 간극은 왜 발생하는 것일까?
언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구체화된 약속의 집합이다. 새로운 개념을 형용하는 신조어가 생겨나기도 하고 고어(古語)는 사라지기도 하며, 동시대의 많은 정보를 압축적으로 담아낸다. 이 약속된 기호들은 인류가 역사를 기록하기 위해 택한 하나의 방식이다. 언어로서 정의한 대상(가치, 관념, 사상)은 보편 타당할까? 언어는 소통을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 문자로는 대상과 사물의 모든 모습과 가능성을 담아낼 수 없다. 가령 집이라는 대상은 7139가지의 약속된 언어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지만, 개인이 상기하는 집의 구체적인 모습이나 상태는 무한하다. 현시점 다양한 매체를 통해 80억 인구의 무한한 가능성들이 약속된 언어로 소통된다. 동시대에 당연시되는 다양한 가치들 또한 필연적으로 사회, 지리, 역사, 경제, 문화적 영향아래 상호작용하며 유기적으로 변화한다. 인류가 진화를 거듭하면서 다양한 가치판단 기준(경계)들은 반목과 대립을 반복하며 재정의 되었다. 이렇게 인류는 성숙해왔다. 나는 이 끊임없는 경계의 재정의가, 즉 시대의 역동이 흥미롭다. 고정된 가치와 기호보다, 이를 뛰어넘는 유동적이고 변화하는 가능성에 관심을 갖는다.
그렇다면 인류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개인은 어떨까? ‘나’ 라는 작은 단위는 범우주적 관점에서 티끌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인식의 객체인 ‘나’가 없다면 세상 또한 존재하지 않는 것이기도 하다. 나는 이 개인이라는 작고도 위대한 단위에 주목한다. 개인이 삶과 죽음 사이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기억과 감정이 쌓여 한 사람의 자아(내면)을 구성한다. 나와 세상을 구분 짓고 정의하는 인식의 틀이 점차 성장하는 과정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개별적 자아가 사회를 구성하고, 그 집합이 시대상(가치 판단 기준)을 만들어 낸다. 인류는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며 농업, 산업, 디지털시대를 거쳐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개인에게 주어지는 물리적인 시공간은 축소되었지만 그에 대한 효율과 가능성은 비약적으로 확장 되었다. 인류가 구축한 가상공간 안에서 ‘나’라는 독립적 객체가 타자에게 가지는 영향력은 무궁무진하다.
나는 이 무한한 가능성의 존재를 표현하고자 캔버스라는 사각의 오브제를 차용했다. 동시대 회화 작업에 있어 캔버스(프레임)는 도상이 채색되는 일반적인 표면이다. 이는 서사의 시작과 끝을 구분 짓는 물리적 경계이며, 동시에 캔버스는 인식과 사고의 범주를 제한하는 관념적 경계이기도 하다. 나의 작업은 이 약속된 물리적/관념적 경계에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개인을 빗대어 묘사한다.
우리가 경험하는 다양한 감각 자극은 정보처리 과정을 거쳐 기억과 감정으로 축적되며 분류되고 뒤섞인다. 나는 이러한 내면의 유기적인 변화가 나의 작품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유사하다고 생각한다. 물감은 다 마르기 전까지는 명확한 색감과 형태를 알 수 없다. 흰 캔버스 위에 던져지는 물감은 물리법칙의 영향을 받아 중첩되기도 흩어지기도 하며 쌓인다. 온습도에 따라 마르는 과정 중 표면이 갈라지기도 하고, 캔버스가 놓여진 경사에 따라 물감이 흘러 바닥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물감이 흐르며 섞이고 스미는 과정에 있어 환경의 영향은 필연적이다. 나는 이렇듯 일정 부분 통제를 벗어나 채색된 표면 위에 구체적 도상을 그려 넣는다. 캔버스 위에 구현되는 도상, 색체, 질감에는 제약이 없다.
하나의 개별적 자아(내면의 구체적 형상)가 만들어지는 과정도 그러하다. 우리의 의지와 무관하게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들은 환경적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현상들은 우리의 오감을 자극하며 인식된다. 우리의 의식에 들어온 감각정보들은 일순간 개인의 주관에 의해 연결, 편집, 탈락 혹은 왜곡되어진다. 부각되거나 생략되는 경험(감정,기억)의 편린들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것은 타인과 온전히 구분되는 주체적이고 개별적인 인지의 과정이며, 우리가 경험을 통해 구체적인 내면의 형상(자아)을 만들어내는 과정이기도 하다. 완벽한 복제품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렇게 고유한 내면의 파동들을 간직한채 실시간 성장하는 흥미롭고 유일무이한 존재가 인간이다. 나는 근래 작업중인 연작을 통해 우리 사회의 가장 작은 단위, 이 시대의 수 많은 개인들을 묘사해 보고자 한다. 오늘도 각자의 삶의 기예를 쌓아 나가며 끊임없이 변모하는 무궁무진한 존재들에게 한 폭의 찬사를 보내고 싶다.
© 2024 JAEMI YOO - ALL RIGHTS RESERVED